python3 파이썬 | 함수와 클래스 7. 함수 (1) 사용자 정의 함수 - 사용자가 직접 새로운 함수를 정의해서 사용하는 방법- 사용자 정의 함수의 매개변수나 생선된 변수는 사용자 정의 함수 종료 시, 소멸 [1] 사용자 정의 함수 선언def 함수명 (변수명, ...) : 명령어 return 반환값 파이썬도 자바나 C 언어와 같이 재귀함수 사용 가능# 파이썬 사용자 정의 함수 def fn(num): if num%2 ===0: return 'Y' else: return 'N' a=fn(5)print(a)# Nfn 함수 호출하고 전달인자로 5 넣은 반환값을 변수 a에 대입사용자 정의 함수 fn이 매개변수로 전달받은 num=5 > 5%2!=0 이므로 else 문에 따라 'N'을 반환a에는 반환값이 저장되고 pri.. 2024. 3. 29. 파이썬 | 입출력 함수와 연산자, 반복문 3. 입출력 함수(1) 표준 출력 함수 (print)- 화면에 출력하기 위한 표준 출력 함수 print [1] 단순 출력 및 개행 print(문자열, end) ▷ end 파라미터 : print 함수가 완료될 때 끝에 추가할 문자 ( default - '\n' 개행문자) - print 함수 종료 이후에, 기본으로 개행 (줄바꿈) 실행 ex. print('ABC') ▶ end 파라미터를 별도로 지정하지 않았으므로 default 값인 end='\n'이 생략된 형태 문자열 ABC 출력 이후, 개행 진행 # 파이썬 단순 출력 print('Hello', end='')print('Hoxypot')print('Hello', end='!')print('Hoxypot')# HelloHoxypot# Hello!H.. 2024. 3. 26. 파이썬 | 기본 구조와 자료형 04. 파이썬 1. 파이썬 기본 구조 - 파이썬은 사용자 정의 함수, 클래스가 먼저 정의 된 후에 실행 코드가 나옴- 가독성을 위해 들여쓰기 실행 def 키워드로 시작되는 명령어 : 사용자 정의 함수class 키워드로 시작되는 명령어 : 클래스 사용자 정의 함수와 클래스를 제거했을 때 남아있는 명령어들을 순차적으로 실행def fn(num): if num % 2 == 0: return 'Y' class A: def fn(self): print('A')print('Hello')# Hellodef 뒤의 fn은 사용자 정의 함수class 뒤의 A는 클래스 Aprint('Hello') 구문에 의해 Hello 출력파이썬의 들여쓰기 들여쓰기가 강제되어 기본 구조 코드에서def fn(num).. 2024. 3. 26. 이전 1 다음